콜백어플
담양군, 1230억 확보 기후위기 대응형 복구 체계 구축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담양군이 1230억 원의 복구비를 확보해 생계 회복 지원과 함께 하천·도로·농업 기반시설의 전면 재설계에 들어갔다.담양군은 지난 7월 집중호우로 공공 223억 원, 사유 186억 원 등 총 409억 원의 피해를 입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다. 군은 재난관리시스템(MDMS) 신속 입력과 중앙부처 사전 조사 대응을 통해 복구비 1,230억 원을 확보했다.복구 재원은 공공시설 1167억 원, 사유시설 63억 원이며, 공공시설은 담양군 245개소 745억 원, 전라남도 관리 구간 6개소 412억 원, 군부대 4개소 10억 원이다.현재까지 216억 원(17.5%)의 집행을 시작했다. 국비 84억 원은 도로·소하천 등 기반시설 복구에 투입되고, 특별교부세 75억 원(자체복구 35억·지방비 매칭 40억)은 긴급 복구 구간에 배정됐다.특히 사유시설 재난지원금은 주민들의 생활 안정과 직결되는 핵심 지원 항목으로, 총 63억 원이 확정됐다. 이 가운데 57억 원이 이미 3,425세대에 지급돼 주택, 상가, 농작물 피해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돕고 있다.아울러 행정 예산뿐 아니라 고향사랑기부제 지정기부사업을 통해서도 복구 재원을 마련했다.지난 7월 집중호우 피해 직후 추진한 ‘폭우피해 복구 긴급모금’은 목표액 1억 원을 조기에 달성했으며, 총 1억 4천만 원이 모여 피해 지역의 응급복구비로 지원된다.담양군은 복구 목표를 ‘다시는 같은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항구적 복원’에 두고, 재해예방 중심의 복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반복 침수 지역은 하천 단면을 확장하고 제방 높이를 상향 조정해 유수(流水) 용량을 1.5배 이상 늘릴 계획이며, 주요 하천에는 침식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옹벽과 생태블록 사면을 병행 설치하고 농업용 수로 배수관 직경 확장과 펌프장 자동제어 시스템을 도입한다.또한 주요 배수펌프장과 양수장은 전원 이중화 설계를 적용해 정전 시에도 즉시 가동될 수 있도록 했다. 산사태 취약 지역에는 낙석방지망과 사면 보강공을 추가하고, 교량 하부에는 세굴 방지공법을 병행 적용해 구조 안정성을 높인다.정철원 담양군수는 “이번 복구는 피해 회복을 넘어, 재난 대응 체계를 새롭게 세우는 출발점”이라며 “ 17일 서울 종로구 한 거리에 단풍잎이 떨어져 있다. 김광우 기자.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점점 단풍 보기가 힘드네”기나긴 더위에 이은 가을철 장마까지 마무리되며, 가을 단풍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단풍 구경을 위해 등산 계획을 세우는 이들도 다수다.하지만 아직 ‘단풍’은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상황. ‘역대급 더위’가 10월 중순까지 영향을 미치며, 단풍이 물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서울 중구 덕수궁에 단풍나무가 붉게 물들어 있다. 임세준 기자 올해만 특수한 게 아니다. 단풍 절정 시기는 점차 미뤄진다. 올해 단풍도 11월에 들어서야 ‘절정’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단순히 물드는 시기만 늦춰지는 게 아니다. 절정 기간도 축소되는 경향이 나타난다.심지어 이젠 단풍 구경 문화 자체가 사라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아열대화가 진행되며, 기후에 맞는 사시사철 푸른 나무만 한반도에 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9월 30일 강원 설악산국립공원 중청 일원이 점차 단풍으로 물들고 있다.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 제공] 산림청이 발표한 ‘2025 산림단풍 예측지도’에 따르면 올해 단풍은 지역별로 10월 말~11월 초에 절정을 이룰 전망이다. 특히 단풍나무류의 단풍 시기는 강원 설악산에서 10월 25일경 시작해, 속리산(10월 27일), 가야산(11월 11일) 등 순서로 절정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이는 과거에 비해 눈에 띄게 늦어진 결과다. 국립수목원, 전국 9개 공립수목원을 기준으로 관측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단풍 절정 시기는 지역별로 최대 5.2일가량 늦어졌다. 약 2년마다 하루씩 절정 시기가 미뤄진 것. 17일 서울 종로구의 한 가로수. 김광우 기자. 과거 수십 년간 비교적 안정적인 패턴을 보인 것을 고려하면, 이같은 빠른 변화는 이례적이다. 전 세계적인 탄소배출량 급증에 따른 부작용, 즉 ‘기후변화’를 원인으로 지적하는 이유다.그중에서도 여름 더위의 장기화가 주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더위가 쉽게 물러나지 않으며 단풍의 형성 조건이 쉽게 갖춰지지 않은 것. 실제 단풍은 최저 기온이 5도 이하로 떨어지고, 일교차가 10도 이상 유지됐을 때 본격적으로 형성된다.
콜백어플
Copyright @2023 충북녹색뉴스. All rights reserved.